4. Revenue : BM의 정의와 제대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지표. 매출
- 전사적인 관점에서 업무를 해나가야할 필요가 있음
- Revenue 관련 지표
- ARPU (Average Revenue Per User) : Revenue/User
- 전반적 상황을 보는데 유용함
- 하지만, User와 Revenue의 구분이 어려움
- 일반적으로 Monthly기준으로 정의
- ex. MAU, ARPDAU,...
- ARPPU (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) : Revenue/Paying User
- ASP (Average Selling Price) : Revenue/ 판매횟수
- Lifetime Value(유저생애가치) : User의 진입~ 이탈까지 전체활동기간동안 누적 발생되는 기대수익
- CLV = (M-c)/(1-r+i) - AC
- M: 1인당 평균 매출// c: 1인당 평균 비용 // r : 고객 유지 비율 // i: 할인율 // AC : 고객 획득비용
- Lifetime Value = ARPU / Churn
- Churn : 고객 이탈비율
- 하지만, 현실에서 이러한 계산을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
- 대안?
- LTR (Lifetime Revenue)의 활용
- 비용의 계산이 어려우니 매출에 계산만을 지수로 활용
- 고객의 수는 이탈하는 여부를 판정하지않고 쭉 같은 숫자를 유지
- CAC, LTR, ROAS를 비교하면서 생각
- LTR (Lifetime Revenue)의 활용
- CLV = (M-c)/(1-r+i) - AC
- ARPU (Average Revenue Per User) : Revenue/User
- Revenue의 형태
- 아이템별 매출의 합계
- 스토어별 매출의 합계
- 회원별 매출의 합계
- ...
- in 구독 서비스,
- MRR(Monthly Recurring Revenue)
- Base MRR(전월 MRR) + New MRR - Churn MRR + upgrade/downgrade MRR
- MRR(Monthly Recurring Revenue)
- 핵심사용자와 고래
- 고래 : 많은 금액을 발생시켜주는 고객
- 서비스의 영향력이 크기때문에, Operating 측면과 Revenue측면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함
- RFM 분석
- 기준을 정해서 점수로 평가
- Recency : 얼마나 최근에 결제했는지
- Frequency : 얼마나 자주 결제했는지
- Monetary : 얼마나 많은 금액을 결제했는지
- 점수의 Total 점수로 Group을 나눠서 User를 Segement
- User별로 다른 프로모션을 진행
'Data Analysis > Dat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ta Analysis - AARRR(Full Ver) (0) | 2021.12.17 |
---|---|
Data Analysis - AARRR(5) Referral (0) | 2021.11.12 |
Data Analysis - AARRR(3) Retention (0) | 2021.11.12 |
Data Analysis - AARRR(2) Activation (0) | 2021.11.04 |
Data Analysis - AARRR(1) 지표와 Acquisition (0) | 2021.11.03 |